본문 바로가기
핫한 트렌드 스토리

증명서·카드를 스마트폰에 쏙!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

by 카이로 B.G.PARK 2025. 7. 9.
반응형
통합앱 10월 말부터 운영, 사전절차 돌입…7.9.~25. 명칭 공모
서울시가 오는 10월 말부터 ‘서울지갑’ 앱과 ‘서울시민카드’ 앱을 통합 운영한다.
 
# 주말 아침, A씨는 쌍둥이 자녀들과 뚝섬한강공원을 찾았다. 서울지갑+시민카드 통합앱에 등록된 다둥이카드를 활성화하자 수영장 입장료와 주차요금을 50% 할인받을 수 있었고 오후에는 동네 도서관을 들러 통합앱으로 책을 대출했다. 저녁에는 동네 체육시설을 찾아 앱 태그 후 운동도 했다.

신청 자격 확인부터 도서관·체육시설 이용까지 하나로!

고품질의 디지털 행정 구축을 목표로 시민편의를 높여가고 있는 서울시가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공공서비스 플랫폼 ‘서울지갑’ 공공시설 모바일 회원증 ‘서울시민카드’를 오는 10월 말부터 하나의 앱으로 통합 운영한다. 기능적인 면도 대폭 개선된다.

‘서울지갑’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34종의 증명서’ 발급과 청년 월세 등 복지서비스 ‘신청 자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앱이다.

또 다자녀 혜택을 위한 ‘다둥이행복카드’, ‘임산부카드’ 등 모바일카드 등록 및 사용은 물론, 최근에는 부동산 거래 사기방지를 위한 ‘공인중개사 자격 확인’ 서비스도 전국 최초로 탑재했다. 현재 누적 가입자는 15만 명이다. 서울지갑에서 실시간 자격 확인이 가능한 항목은 ‘청년수당, 대중교통비 지원, 이사비 지원’ 등 27종이며, 올해 중 기후동행카드 할인 자격확인이 가능하도록 연계할 계획이다.

‘서울시민카드’는 시립·구립 도서관, 체육시설을 비롯해 청소년센터, 장난감도서관 등 837개 시내 공공시설 이용시 사용가능한 모바일 통합회원카드로 현재 34만 명의 시민이 이용 중이다.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통합앱은 단순 기능을 합치는 것을 넘어 시민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쌍방향 플랫폼으로의 진화가 목표다.
서울지갑, 서울시민카드 앱 기능 통합
 

연령별 맞춤 정보 서비스인 ‘나의서울+’ 신설

이를 위해 우선 새로운 통합 앱에 맞춤형 혜택 기능 ‘나의서울+(플러스)’ 서비스를 추가한다. 청소년부터 중장년, 임산부, 다자녀가족 등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안내해 준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에겐 ‘서울장학재단 장학금’, 청년층에겐 ‘청년월세·청년문화패스·청년이룸통장’ 등 정보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방식이다. 중장년층은 ‘서울시50+재단’ 일자리 정보와 교육강좌, 다자녀가정이나 임산부에게는 ‘다둥이카드, 꿈나래통장’ 같은 복지서비스 정보를 전달한다.
 

‘나의서울+’ 연령별 맞춤 서비스 정보 (예시)

 

10대(학생)20~30대(청년)40대 이상특정 대상
고등학생 장학금(서울장학재단) 청년월세, 청년이룸통장, 영테크, 청년문화패스, 학자금대출 신용회복지원(청년몽땅정보통), 대학생 장학금(서울장학재단) 등 중장년 교육강좌 및 일자리 정보(50+재단) 경력단절 여성지원(여성가족재단)
다둥이행복카드, 임산부카드, 꿈나래통장
문화, 행사 할인정보, 서울런, 손목닥터9988, 기후동행카드
회원가입과 인증 절차도 QR코드만 스캔하면 누리집 로그인이나 서비스 인증이 가능한 방식으로 확대하고 있어 한층 더 편해진다. 아울러 블록체인 기반데이터 관리서비스도 확장해 각종 정보의 불법적 위변조 방지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각각의 앱에 있는 중복메뉴 통합 등으로 이용 편의성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유지관리비와 본인인증 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는 10월 통합 앱 출시를 앞두고 기존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 이용자의 데이터 이관 절차를 안전하게 진행 중이다.

‘서울지갑’ 사용자는 간편번호 재설정만으로 통합앱을 사용할 수 있고, ‘서울시민카드’ 이용자는 올해 말까지 정보 이관에 동의하면 기존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시는 서울시민카드가 12월 말 폐기 예정인 만큼 올해 안에 동의절차를 이행해 줄 것을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아울러 7월 9일 오전 9시부터 25일까지 서울시 엠보팅을 통해 통합 앱 명칭 공모도 진행한다. 시는 추첨을 통해 우수제안자 100명에게 커피 쿠폰을 제공할 예정이다.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