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84

부정맥은 왜 발생하는가? 부정맥의 원인 심근에는 자발성(자동능, automatism)이 있다. 예를 들면, 생체에서 꺼낸 심장을 아주 잘게 썰어 배양액 속에 넣어보면, 개개의 심근세포는 고유의 리듬으로 수축하는 것이 관찰된다. 이를 자발성이라고 한다.심장에는 동방결절 외에 심방근, 방실결절, 심실근 등이 있는데, 이들을 만드는 심근세포는 모두 자발성을 가지고 있다. 단지, 실제 심장 속에서 이들 심근세포가 모두 제각각의 페이스로 수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다양한 자동수축능을 가진 심근세포를 다시 모아 심장을 재구축하면, 심장전체는 가장 높은 빈도로 수축하는 심근세포의 페이스에 말려든다. 실은 이 중에서도 가장 높은 빈도의 페이스로 수축하고 있는 것이 동방결절의 심근세포이다(그림 1-3).따라서 천천히 수축하는 심근세포도 동방결절의 수축 페이스.. 2024. 5. 5.
부정맥은 왜 치명적인가? 심박수가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심박출량도 증가한다. 그러나, 그 증가하는 방법에도 한계가 있어 심박수가 180회/min을 초과하게 되면, 반대로 심박출량은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는 심박수가 증가할 때, 주로 확장기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확장기 시간이 단축되면, 2가지의 좋지 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하나는 이미 아는 바와 같이, 심실이 혈액으로 충만해지는 것은 확장기에 일어나므로 확장기 시간의 단축은, 심실이 혈액으로 채워지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켜 심박출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이다.다른 하나는, 관상동맥 혈류가 주로 확장기에 흐르기 때문에, 확장기가 단축된다는 것은 심근허혈을 유발하여 심장활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한편, 느린맥(서맥)을 유발하는 경우에도 심박출량의 감소를 초래.. 2024. 5. 5.
비밀은 없어 등장인물 스캔들 ‘비밀은 없어’ 고경표, 인기 아이돌 멱살 ? ‘비밀은 없어’가 고경표의 단독 소식을 미리 알렸다. 인기 아이돌 멱살을 잡아 파문이 확산됐다는 내용이다.1일 베일을 벗는 JTBC 새 수목드라마 ‘비밀은 없어’(극본 최경선, 연출 장지연)가 본방송에 앞서, 사건의 발단이 되는 울트라 FM 아나운서 송기백(고경표)의 스틸을 공개했다. ‘영앤리치’, ‘톨앤핸썸’란 수식어가 따라다니고, 금수저라 아쉬운 것도 없고, 일도 잘 하고, 인성도 좋다는 소문이 방송국 내에 파다한 기백. “더빙 좀 부탁하자”, “당직 좀 대신 서달라”라는 선배들의 부탁엔 ‘노(No)’ 한번 하지 않는 ‘예스맨’으로 K-직장생활에 최적화된 인물이다. 공개된 스틸컷에 이렇게 ‘웰메이드’된 이미지를 가진 기백이 저지른 일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 2024. 5. 2.
경기북부특별자치도(평화누리특별자치도?)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가 각각 분리된 이후 남북간 연결성이 느슨해진 경기도를 남북으로 분도하는 경우 신설되는 행정구역이다. 현재 광역자치단체 개편안 중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개편안임과 동시에 가장 현실성 있는 행정구역 개편 안으로 여겨진다.경기도는 통상적으로 한강과 북한강을 기준점으로 남과 북으로 나뉘는데, 전통적으로 한강과 북한강을 기준으로 그 북쪽에 위치한 경기도 북부의 '한수이북' 지역을 경기북부라고 부르고 경기도 남부의 '한수이남' 지역을 경기남부로 분류해 왔다.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당선되면서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 분도가 분할의 어감을 갖는다며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라는 용어.. 2024. 5. 2.
사할린 한인 동포 이야기 사할린 한인 동포에 대하여 알고 계신가요?일제 강점기 시대, 일본의 ‘국가총동원령’에 의해 당시 일본 식민지였던 러시아 남부 사할린 섬에 수많은 조선인이 강제 징용으로 끌려갔습니다. 강제 노역의 희생자로 광업, 어업, 공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노동력을 착취 당한 조선인과 그 후손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과 더불어 가혹한 인권 침해를 견디며 먼 객지에서 오랜 시간 귀향의 꿈을 가지고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1945년, 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한 일본은 철수하는 과정에서 사할린으로 끌고 갔던 조선인을 그곳에 내버려 두었고, 사할린 한인 동포는 이후 오랜 기간 방치되어 고국 땅에 발을 디딜 수 없게 되었습니다.사진 출처 [지구촌동포연대]사진 출처 [지구촌동포연대] 사할린 한인은 러시아 극동 지역 사할린 섬.. 2024. 5. 2.
근대에서 오늘까지 서울역사 발자취를 따라서 코스설명서울의 발자취를 따라 나들이돈의문박물관마을 - 서울도시재생이야기관 한양도성의 서쪽 큰 문 , 서대문이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한 ‘ 돈의문 ’ 은 1396 년 처음 세워졌으나 1413 년 폐쇄되었다가 , 1422 년 현재 정동 사거리에 새로이 조성되었지만 1915 년 일제가 도시계획이라는 명목 아래 도로 확장을 이유로 돈의문을 철거해 ‘ 돈의문 ’ 은 ‘ 서울 사대문 가운데 유일하게 이야기로만 전해지는 문 ’ 으로 남아있다고 해요 .  한양도성 서쪽 성문 안 첫 동네 . 마을 전체가 박물관으로 재탄생하여 독립운동가의 집 , 과외방 , 전성기를 누렸던 식당 골목 등 근현대 돈의문 마을의 삶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어요 .  돈의문 박물관 마을과 이어진 서울도시재생이야기관에서는 오늘날 서울의 이야기를 만날.. 2024.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