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한 트렌드 스토리

수상교통 새 역사 '한강버스' 뜬다! 18일 본격 첫 출항

by 카이로 B.G.PARK 2025. 9. 16.
반응형
한강버스가 9월 18일 정식운항을 시작한다.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수단 한강버스가 9월 18일 첫차(11:00)부터 정식운항을 시작합니다. 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7개 선착장, 총 28.9km를 운항합니다. 한강을 찾는 시민, 관광객 누구나 한강의 경관을 감상하며 여유와 힐링을 만끽할 수 있습니다. 운항시간표, 선착장 등 한강버스 이용정보를 안내합니다. 
 수상대중교통 ‘한강버스’ 정식운항

새로운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수단인 한강버스가 3개월간의 시민체험 운항을 마치고 9월 18일 첫차(11:00)부터 정식운항을 시작한다. 한강버스는 마곡-망원-여의도-압구정-옥수-뚝섬-잠실 7개 선착장, 총28.9km를 운항할 예정이다.
한강버스 이용정보
총 8척의 선박이 운항하며,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수상 대중교통수단인 만큼 안전과 서비스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식운항 초기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지 기준)까지,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하루 14회 운항한다.

한강버스 이용요금은 1회 3,000원이며, 5,000원을 추가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횟수 제한없이 탑승할 수 있고 대중교통 환승할인도 받을 수 있다. 단, 현금결제는 불가능하다.
한강버스 운항 시간표 (9.18.~10.9.)
○ 마곡⇒잠실회차   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
1 11:00 11:26 11:47 12:19 12:31 12:54 13:07
2 12:30 12:56 13:17 13:49 14:01 14:24 14:37
3 14:00 14:26 14:47 15:19 15:31 15:54 16:07
4 15:30 15:56 16:17 16:49 17:01 17:24 17:37
5 17:00 17:26 17:47 18:19 18:31 18:54 19:07
6 18:00 18:26 18:47 19:19 19:31 19:54 20:07
7 19:30 19:56 20:17 20:49 21:01 21:24 21:37

○ 잠실⇒마곡회차    잠실 뚝섬 옥수 압구정 여의도 망원 마곡
1 11:00 11:16 11:39 11:51 12:23 12:44 13:07
2 12:30 12:46 13:09 13:21 13:53 14:14 14:37
3 14:00 14:16 14:39 14:51 15:23 15:44 16:07
4 15:30 15:46 16:09 16:21 16:53 17:14 17:37
5 17:00 17:16 17:39 17:51 18:23 18:44 19:07
6 18:00 18:16 18:39 18:51 19:23 19:44 20:07
7 19:30 19:46 20:09 20:21 20:53 21:14 21:37
운항초기 1시간~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항된다.
 10월 10일부터 급행 포함 증편 운항

추석 연휴 이후인 10월 10일부터는 출·퇴근 시간 급행노선(15분간격)을 포함해 왕복 30회(평일 기준)로 증편 운항 예정이다.

평일 운항 시간은 오전 7시~오후 10시 30분, 주말은 오전 9시 30분~오후 10시 30분이며, 시민 눈높이와 요구를 반영해 단계적으로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10월 말 이후에는 선박 4척을 추가로 인도해 연내 총 12척, 48회로 확대 운항한다.
한강버스 모든 선박은 친환경 선박(하이브리드 8척, 전기 4척)이다. 하이브리드 선박은 디젤기관 선박과 비교해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을 52%가량 줄였고, 전기 선박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도록 설계됐다

각각 선박에는 경복궁호, 남산서울타워호, DDP호, 세빛섬호 등 서울의 역사, 건축·디자인, 문화·관광을 대표하는 이름을 붙였고 선박 이름을 딴 명소 배경의 포토존도 설치해 새로운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부대시설 현황

 

구분 망 원 여의도 압구정 뚝 섬 잠 실 마 곡 옥 수
3층 뉴케이스 스타벅스 시나본 바이닐 테라로사 1층 규모
선착장
1층 규모
선착장
2층 BBQ치킨(음식점)
1층 CU(편의점)
스타벅스(여의도선착장)
 선착장경사로, 교통약자 배려석 설치

‘한강버스’ 선내에는 카페테리아를 운영해 커피와 베이글 등 간단한 간식을 즐기며 출퇴근과 이동이 가능하며 와이파이도 이용할 수 있다. 자전거 거치대(20대)와 휠체어석(4석)과 교통약자 배려석 12석도 별도 지정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6월 5일부터 8월 23일까지 약 3개월간 총 5,562명의 시민이 탑승한 가운데 66회의 시민체험운항을 실시했다. 체험운항은 출퇴근 직장인 등 일반시민과 관광업계 종사자, 공무원과 공공기관직원,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체험 후 만족도는 81%에 달했다. 체험운항 참여자들은 한강버스의 쾌적함과 요금, 이동 중 감상 가능한 경치 등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시민체험운항 기간 많은 시민이 선실 바깥에서 바라본 한강의 풍경에 좋은 반응을 보였고 이점을 반영해 정식운항 후에도 이용객들이 선실 바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단,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 QR코드를 이용한 간편 승선신고를 해야한다.

이와 함께 운영사인 ㈜한강버스를 행정안전부에서 관리하는 재난안전통신망에 편입하고 시범운항 기간 재난 및 테러 대응 합동 훈련을 실시하는 등 사고 발생 시 소방, 경찰 등 유관기관과 즉시 협조·대응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했다.

쾌적하게 한강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선내 흡연 불가, 선내 취식 및 반려동물 이동장 활용 등을 담은 별도의 운항 규칙을 마련하였다. 이용 관련 사항은 120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답변을 받을 수 있다.
LP카페 ‘바이닐’(뚝섬선착장)
 버스·따릉이 등 선착장 접근성 개선

‘한강버스’ 선착장 주변에 버스정류장을 신규 설치하거나 버스노선을 신설해 한강버스 이용객들이 편리하게 선착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먼저 마곡선착장 인근에 버스노선(1개)을 신설했고 망원·압구정·잠실 선착장도 각각 2개 버스 노선을 신설·조정했다.

이외에도 모든 선착장에 따릉이 대여소를 설치하고, 마곡·잠실·압구정 3개 선착장과 인근 지하철역사 등을 잇는 무료 셔틀버스도 운영한다.

셔틀버스는 (오전) 10시 30분~오후 1시, (오후) 5시 30분~10시에 마곡·잠실 15분, 압구정 30분 간격으로 운행 예정이다. 운항 횟수가 늘어나는 다음달 10일 이후에는 출퇴근 시간에 맞춰 운영시간을 조정할 계획이다.

시는 탑승객들의 편리한 선착장 이동을 돕기 위해 주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접근로 등에 안내표지판, 노면 사인, 유도선 등 설치도 완료했다.
반응형

 선착장 안내

마곡선착장      일반       급행   
강서구 가양동 441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양천향교역(9호선)
버스 : 가양나들목 도보 3분 (시내버스, 셔틀버스)
따릉이 : 가양나들목승강기 인근 도보 2분

망원선착장      일반   
마포구 망원동 205-8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망원역/마포구청역(6호선)
버스 : 망원나들목 도보 5분(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 : 망원한강공원 1호 매점 인근 도보 2분

여의도선착장      일반       급행   
영등포구 여의도동 85-1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여의나루역(5호선/9호선)
버스 : 여의나루역도보 4분(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 : 선착장 인근 도보 1분

압구정선착장      일반   
강남구 압구정동 380-1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압구정역(3호선)
버스 : 신사나들목 도보 5분 (시내버스, 셔틀버스)
따릉이 : 잠원한강공원 1호 매점 인근 도보 1분

옥수선착장      일반   
성동구 옥수동 86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옥수역(3호선/경의중앙선)
버스 : 옥수역도보 5분 (마을버스)
따릉이 : 선착장 인근 도보 1분

뚝섬선착장      일반   
광진구 자양동 126-1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자양역(7호선)
버스 : 자양4동주민센터앞 도보 10분(시내버스)
따릉이 : 뚝섬수영장 옆 화장실 인근 도보 3분

잠실선착장      일반       급행   
송파구 잠실동 1-2 일대연계교통
지하철 : 잠실새내역(2호선), 잠실역(2호선, 8호선)
버스 : 잠실새내나들목 도보 5분 (시내버스, 셔틀버스)
따릉이 : 잠실물놀이장 인근 도보 2분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