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한 트렌드 스토리

대한민국 최초의 지폐는? 화폐로 보는 광복 80년 역사

by 카이로 B.G.PARK 2025. 8. 25.
반응형
광복 이후 독립한 대한민국 정부에서 발행한 최초의 화폐는 무엇이었을까? 1945년 광복 직후,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독립을 했지만 당시 경제는 무척이나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때문에 새로운 정부가 출범했음에도 당시 조선은행권에서 발행한 화폐는 한동안 그대로 사용되었고 대신 조선은행 신권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그럼 진정한 대한민국 자체 화폐 발행은 언제였을까? 그건 바로 1950년 한국은행이 설립되면서부터였다.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광복절 행사들이 이어졌다. 광화문광장, 시청 앞 광장, 서울역사박물관 등 대한민국 수도 서울을 대표하는 곳곳의 명소들은 의미 있는 광복 80주년을 보내기 위해 찾아온 시민들로 북적였다. 우리나라 근대 건축물의 위용을 자랑하는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에도 많은 인파가 몰렸다.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은 1981년 국가 중요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된 곳이다. 본래 1909년 대한제국의 중앙은행으로 사용될 예정이었던 (구)한국은행 건물은, 일제강점기 때 (구)한국은행이 조선은행으로 개칭되면서 1912년 건물 완공 이후 조선은행 본점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대한 독립 이후 1950년 6월, 한국은행이 다시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으로 창립되면서 한국은행 본점이 되었으며, 당시 전쟁으로 파괴되었던 건물은 1958년에야 복구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은행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화폐박물관 모습은 2001년. 한국은행이 창립 50주년을 기념하며 개관한 곳으로 한국은행의 소장 가지가 있는 역사기록물과 중앙은행의 과거, 현재, 미래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웅장한 석조 건축물의 화폐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르네상스 양식의 전형적인 근대 건축물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1층에서부터 자연스럽게 2층으로 연결되는 동선을 따라가다 보면 한국은행의 탄생에서부터 현재까지 마치 시간 여행을 하듯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폐는 어떻게 탄생하고 사용 후 어떻게 소멸하는지, 손상된 화폐로 인해 얼마나 국가적 재정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는지 등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호기심을 가지고 돌아볼 만한 이야기가 가득하다. 또한 기획전시실 체험학습실에서는 아이들이 직접 체험을 통해 경제를 이해하고 화폐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고 한은갤러리에서는 당행 소장 미술품 중 근현대 미술사의 명작들을 감상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9월 5일까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굿즈 영(YOUNG) 디자인 공모전’도 개최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의 역사와 역할, 정책 등을 반영하고 화폐를 포함해 우리나라의 화폐를 활용하는 디자인을 주제로 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누리집을 참고하자.
웅장한 석조 건축물이 인상적인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주 출입구 
르네상스 양식의 디자인을 보여주는 화폐박물관의 내부 모습 
높은 천장고와 고풍스러운 샹들리에가 인상적이다. 
르네상스 양식을 느낄 수 있는 원형 계단실의 모습 
2층에서 내려다본 화폐박물관 실내 전경 
광복절을 맞아 가족 단위의 많은 시민들이 다녀간 화폐박물관 
아이들에게 유익한 화폐박물관 전시 공간 
최초의 한국은행 1,000원권, 100원권 모습 
한국은행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모든 이야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1층 화폐광장에서는 독특한 주화와 외국 화폐 등 다양한 화폐를 만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행한 6가지 동전으로 쌓은 피라미드 
한은갤러리 상설전에서 전시 중인 ‘사유와 산책_이어진 길’ 
화폐박물관 1층 기념품 판매점 모습 
1981년 국가중요문화재로 지정된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 위치 :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39 한국은행
○ 교통 : 지하철 4호선 회현역 7번 출구에서 307m
○ 운영시간 : 화~일요일 10:00~17:00 ※ 단체 관람 10인 이상 사전 예약 필수
○ 휴무 : 월요일, 설, 추석 연휴, 근로자의 날, 선거일, 12월 29일~다음 해 1월 2일
○ 입장료 : 무료
 누리집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