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한 트렌드 스토리

지상철도 全 구간 지하화…'제2의 연트럴파크' 조성

by 카이로 B.G.PARK 2024. 10. 23.
반응형

서울시는 시내 지상철도 전 구간에 대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서울 지하철 1호선 구로역 선로 모습.

 

서남권에서 동북권까지, 서울 도심을 잇는 길이 약 68㎞, 면적 122만㎡, 약 37만평에 달하는 제2의 연트럴파크가 탄생한다.

서울 지상철도 전 구간을 지하화해 선로부지(122만㎡)는 연트럴파크와 같은 대규모 녹지공원으로 변신하고, 역사부지(171.5만㎡)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 복합개발로 활력이 넘치는 입체적 신(新)경제코어로 조성된다.

서울시가 지역 간 단절과 지역쇠퇴 원인으로 꼽혔던 서울 시내 지상철도 전체 구간에 대한 지화화 구성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시는 23일 발표한 계획을 오는 25일 국토부에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지로 제안할 계획이다.
철도지하화 사업에 따라 지상구간을 대규모 녹지공원, 입체적 복합개발을 통해 新경제코어로 조성할 계획이다. 사진은 경의선 숲길 모습.
현재 서울 시내 철도 지상구간은 6개 노선, 약 71.6㎞로 15개 자치구를 통과하고 있다. 과거 철도는 도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기반시설로 서울역, 영등포역과 같이 주요 역사가 위치한 지역은 서울 대표 중심지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현재는 소음·진동 등 공해 유발로 인한 삶의 질 저하는 물론 중심지와 생활권 단절, 주변지역 노후화와 지역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도시발전 걸림돌로 전락했다. 특히, 철도 지상구간은 서울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남권과 동북권을 관통하고 있어 서울의 균형발전을 위해서 철도 지하화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돼왔다.

지상철도 지하화 실현을 위해 서울시는 오랜 기간 검토와 추진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제도상 제약으로 번번이 지하화 추진이 무산‧지연됐다. 올해 1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됨에 따라 철도지하화 실현 여건이 마련됐다.

아울러 국토부는 철도지하화 사업의 조속한 실현을 위해 오는 25일 지자체의 제안을 받아 올해 말까지 선도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도사업으로 선정되면 국토부 종합계획 수립 전 지자체가 기본계획에 착수할 수 있어 1년 정도 빠르게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서울 시내 철도지하화 대상지는 도심 중앙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경부선 일대, 경원선 일대 총 2개 구간 내 6개 노선이다.
이번에 국토부에 제안할 서울 시내 철도지하화 구간 경부선 일대 34.7㎞, 경원선 일대 32.9㎞, 총 67.6㎞로 총 39개 역사를 포함한다. 다수노선을 공유하는 복잡한 철도망 특성과 지상~지하 연결 가능 여부 등 면밀한 기술적 검토를 바탕으로 지하화가 실현 가능한 대상 구간이 최종적으로 선정됐다.

대상지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심 중앙 ‘서빙고역’을 기준으로 경부선 일대, 경원선 일대 총 2개 구간 내 6개 노선이다.

경부선 일대는 ▴경부선(서울역~석수역) ▴경인선(구로역~오류동역) ▴경의선(가좌역~서울역) ▴경원선 일부(효창공원역~서빙고역) 노선이다. 경원선 일대는 ▴경원선(서빙고역~도봉산역) ▴중앙선(청량리역~양원역) ▴경춘선(망우역~신내역) 이다. 경원선의 경우 일부 지역은 위치상 경부선 일대에 포함됐다.
철도지하화 이후 서대문구(가좌역~신촌역) 조감도
반응형
우선 선형의 ‘선로부지’ 대규모 녹지네트워크를 조성해 시민들에게 고스란히 돌려준다. 이는 녹지가 시민 일상이 되는 ‘정원도시 서울’ 실현과도 맞닿아 있다.

‘역사부지’는 중심지 개발잠재력을 활용, 매각을 전제로 입체‧복합개발한다. 철도 지하화로 발생하는 상부공간에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이 포함된 복합개발로 신(新)경제코어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성 확보를 위해 주변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 용도지역 상향 등 도시계획적 지원방안도 함께 적용 예정이다.
철도지하화 이후 영등포구(영등포역) 조감도
서울시는 이 같은 철도지하화 사업의 실현 가능성과 지역 발전의 파급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울 시내 전 구간 지하화를 국토부에 선도사업지로 제안할 계획이다. 선도사업지로 선정되면 2027년부터 사업 시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